-
뇌사상태 vs 식물인간 차이점 (feat. 뇌사판정 기준)심심한 끼룩씨 2023. 5. 20. 05:51
뇌사상태
뇌가 죽어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뇌사는 대뇌를 포함해 뇌간까지 기능이 정지되어 회복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합니다.
뇌사에 빠지게 되면 신체가 무의식적으로 해왔던 호흡과 같은 뇌간의 기능이 정지되어 심장은 뛰지만 호흡은 스스로 하지 못해 산소 호흡기를 통해 호흡을 해야 합니다. 뇌사상태에서는 어떠한 자극을 해도 반응이 없으며, 뇌사 상태에서 깨어나기는 거의 불가능 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식물인간이란
식물인간은 뇌사와 달리 스스로 호흡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일부분의 대뇌의 손상으로 누워있는 상태로 지내게 되는 것인데요, 뇌사와 달리 움직임이 가능하고, 자극에도 반응이 있는 등 누워있는 채로 수년간 생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뇌사상태와 식물인간 차이점
뇌사와 식물인간은 겉으로 보았을 때 의식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같은 것이 아닌가 착각하기 쉬우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장기기증' 여부에도 큰 차이가 있습니다.
뇌사의 경우 장기기증이 가능하나, 식물인간은 엄연히 생존하는 상태로 보기 때문에 회복 가능성이 있어 장기기증 대상자가 되지 못합니다.
구분 뇌사상태 식물인간 손상부위 뇌관을 포함한 뇌 전체 대뇌의 일부 정신상태 심한 혼수상태 무의식 혼수상태 기능장애 심장박동 외 모든 기능 정지 기능, 사고에 등 내외 장애 운동능력 움직임 없음 목적없는 약간의 움직임 가능 호흡상태 자발적 호흡 불가능 자발적 호흡 가능 경과내용 필연적으로 심정지하여 사망 수개월~수년 후 회복 가능성 있음 장기기증 장기기증 대상자 장기기증 대상 불가 뇌사상태 판정기준
뇌사판정을 할 수 있는 신경과, 신경외과, 또는 마취과 전문의 중 2명 이상(단, 2인 중 신경과 도는 신경외과 전문의 1인 포함 필수)이담당전문의와 함께 6시간 간격으로 2 차례 환자를 평가하게 됩니다.
선행조건
1. 원인 질환이 확실할 것
2. 치료 가능성이 없는 기질적인 뇌병변이 있을것
3. 깊은 혼수상태로 자발적 호흡이 불가능하고 인공호흡기로 호흡이 유지되고 있을 것
4. 치료 가능한 약물중독이나 대사성 장애 가능성이 없을 것
5. 치료 가능한 내분비성 장애의 가능성이 없을 것
6. 저체온상태나 쇼크 상태가 아닐 것
1차, 2차 조사
1차에서는 무호흡 검사, 구역 반사, 각막 반사 등 신경 반사를 체크하고 2차에서는 1차와 같은 검사를 6시간 이후에 한 번 더 하게 됩니다.
이렇게 했을 시 뇌사자는 대뇌, 소뇌, 뇌간 기능을 모두 상실하여 반응이 없게 되며, 두 번 다 반응이 없을 경우 뇌파 검사를 하는데 뇌파에서도 반응이 없다면 뇌사판정 위원회를 열게 됩니다. 이 위원회는 신경과나 신경외과, 마취과 전문의는 물론 의료인이 아닌 목사님과 사회복지사 등의 사회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위원회에서 어느 한 분이라도 뇌사가 아닌 것 같다고 하면 장기기증 대상자가 되지 않으며 최선의 치료를 유지하게 됩니다.
우리나 우리가족이 살아가면서 언제 어떻게 올지 모르는 뇌사이기 때문에 대비를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받고, 내 몸에 관심을 더 기울이며 건강관리에 더욱 신경 쓰는 것이 좋습니다.
'심심한 끼룩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과 좋은음식 vs 나쁜음식 (0) 2023.05.21 여성 갱년기 증상과 관리방법, 좋은음식 알아보기 (0) 2023.05.20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의 차이점은? (0) 2023.05.20 밥을 먹었는데도 배가 자꾸 배고픈 이유, 속이 허한 이유 (1) 2023.05.19 위 줄이기 & 위 줄이는 방법 알아보기(feat.실제경험담) (1) 2023.05.18